1. 학습의 본질: 에너지 최소화 시스템으로서의 브레인
• 브레인은 전체 체중의 2%지만 에너지의 20%를 사용 → 고에너지 소비 기관
• 학습이란 브레인이 에너지를 가장 적게 쓰면서 효과를 내는 방식 찾기
• 어려운 문제를 회피하거나 무의식적으로 관심을 끄는 건 ‘에너지 절약 전략’
• 이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학습법의 대원칙임 (인지 부하 개념)
2. 학습의 실패 원인: 세부로의 과몰입
• 학습자는 세부(수, 나무)를 보는데 익숙 → 조감도(산, 숲)를 놓침
• 학습을 블랙박스로 보고 외부에서 전체 조망 필요
• 역사적 비유: 무덤의 주인을 모르는 고분, 연도 없는 유튜브 영상처럼 전체 맥락 부재
3. 박문호 박사의 학습 3대 원칙 (하단에 예시)
• 1) 대칭화: 대칭 구조는 정보량 절감 → 인지 부하 감소
• 2) 모듈화: 지식을 일정 단위로 나누고 규격화, 주기율표/돈 단위도 예시
• - 장점: 조작 가능성, 교환 가능성, 확장성
• 3) 순서화 (순차성): 동작/언어 기억에서 순서가 중요, 태종태세문단세는 기억남
4. 학습의 메타 원리
• 학습법의 목적: 에너지를 덜 쓰게 만드는 구조를 만드는 것
• 에너지를 적게 쓸수록 편해지고 → 좋아지고 → 반복하고 → 실력 향상
• 공부는 ‘좋아하는 구조’를 만드는 기술
핵심 문장 요약
• "브레인은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머신이다."
• "학습이란 조감도를 확보하는 시도다."
• "대칭, 모듈, 순서가 학습 구조의 3대 축이다."
• "좋아지면 반복하게 되고, 반복은 실력을 낳는다."
실천 팁
• 어려운 문제에서 도망치려는 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라 (무기력은 본능)
• 정보를 사각형, 표 형태로 정리하라 → 대칭 구조 활용
• 공부 주제는 모듈 단위로 나눠서 적층하라
• 순서를 정하고 말/기억/글로 정리하라 → 암기력 강화
•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학습 방식은 지속 불가 → 브레인의 회피 메커니즘 작동
결론
• 학습은 브레인의 에너지 소비 패턴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설계하는 일이다.
박문호 박사의 학습 3대 원칙 - 노트 필기 정리
1️⃣ 대칭화 (Symmetrization)
정보 구조를 좌우, 상하 또는 구조적 ‘대칭 형태’로 구성하면 인지 부하를 줄이고 기억하기 쉬워진다.✅ 예시- 인체 구조: 우리 몸은 좌우 대칭- DNA: 이중 나선, 반만 있어도 복원 가능- 학습: 사각형/대칭 도식 사용, 예: 소화계 ↔ 순환계 비교표🔍 실용 팁- 보고서/PPT 작성 시 곡선 대신 직선과 대칭 배치
2️⃣ 모듈화 (Modularization)
정보를 블록처럼 작은 단위(모듈)로 쪼개고 규격화하면 기억과 조작이 쉬워진다.✅ 예시- 주기율표: 원소가 규칙적으로 배열됨- 돈 단위: 100원, 1,000원, 10,000원 (10진법)- 아파트 동, 기차 칸: 모듈 기반 구조- 프로그래밍의 함수 모듈화- 암기: 주제별 어휘 묶기, 역사 사건을 연대기로🧰 장점- 조작 가능성- 교환 가능성- 확장 가능성
3️⃣ 순서화 (Sequencing)
정보는 정해진 순서대로 배치/암기할 때 인지 부하를 줄이고 장기 기억에 유리하다.✅ 예시- 태종 태세 문단세: 순서 암기의 힘- 말 거꾸로는 어려워도 정순은 쉬움- 수학: 정의 → 공식 → 예시 → 응용- 동작: 팔 올리기 → 손 내밀기 → 쥐기🔁 학습 응용- 단계화 학습: 한자 → 음 → 뜻 → 예문 → 쓰기- 순서 정리: 타임라인으로 구성
📌 요약 다이어그램
원칙
핵심 키워드
예시
실용적 팁
대칭화
좌우/상하, 반사구조
인체, DNA, 표
사각형 중심으로 정리
모듈화
블럭화, 단위화
돈, 주기율표, 함수
세트로 묶어 정리
순서화
타임라인, 단계 처리
왕조, 말하기 순서
항상 앞→뒤 구조로 정리